생계급여는 기초생활보장제도의 한 유형으로, 소득 인정액이 중위소득 30% 이하인 가구에 정부가 지원하는 복지급여입니다.
2025년에는 기준 중위소득 인상, 부양의무자 기준 완전 폐지, 지급 기준 완화 등의 변화가 적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생계급여 조건, 소득 기준, 지원 금액, 신청 방법 등을 정확한 정부 자료를 바탕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1. 2025년 생계급여 지원 대상 및 조건
✅ 생계급여란?
- 생활이 어려운 저소득층에게 최저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복지급여
- 소득 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30% 이하인 가구가 대상
✅ 2025년 생계급여 수급 조건
1️⃣ 소득 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30% 이하
2️⃣ 부양의무자 기준 완전 폐지 (2023년부터 단계적 폐지 완료)
3️⃣ 재산 기준 충족 (대도시, 중소도시, 농어촌 차등 적용)
📌 변경된 부양의무자 기준 (2025년 적용)
- 2021년: 노인·한부모 포함 가구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
- 2022년: 장애인 포함 가구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
- 2025년: 전면 폐지 → 모든 가구가 본인의 소득·재산 기준만 충족하면 지원 가능
2. 2025년 생계급여 소득 기준 (중위소득 30%)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이 5.36% 인상됨에 따라, 생계급여 지급 기준도 조정됩니다.
📌 2025년 기준 중위소득 30% 이하 (보건복지부 발표 자료 반영)
가구원 수 2024년 기준 (중위소득 30%) 2025년 기준 (중위소득 30%)
1인 가구 | 665,389원 | 703,866원 |
2인 가구 | 1,115,039원 | 1,178,810원 |
3인 가구 | 1,432,907원 | 1,514,464원 |
4인 가구 | 1,746,103원 | 1,846,317원 |
5인 가구 | 2,052,197원 | 2,169,655원 |
✅ 생계급여 지급액 계산법
"최저보장 수준(중위소득 30%) - 가구의 소득 인정액"
✔ 예시) 1인 가구 소득 인정액이 40만 원일 경우
- 2025년 생계급여 최저보장액 (703,866원) – 소득(40만 원) = 303,866원 지급
3. 2025년 생계급여 재산 기준
재산 기준은 거주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2025년 기준이 인상되었습니다.
📌 2025년 생계급여 재산 기준 (보건복지부 발표 반영)
거주 지역 2024년 기준 2025년 기준 (5% 상승 반영)
대도시 | 7,700만 원 이하 | 8,100만 원 이하 |
중소도시 | 4,200만 원 이하 | 4,400만 원 이하 |
농어촌 | 3,500만 원 이하 | 3,700만 원 이하 |
✅ 재산 평가 시 고려 사항
✔️ 실거주 주택 공제: 대도시 7,200만 원, 중소도시 3,800만 원, 농어촌 3,000만 원 공제 가능
✔️ 금융재산 공제: 1인 가구 960만 원, 2인 이상 가구 1,530만 원 공제
✔️ 차량 기준: 10년 이상된 차량은 재산 산정 제외 (생업용 차량 예외)
4. 2025년 생계급여 지원 금액 (가구별 차등 지급)
✔ 2025년 생계급여 지급액 (소득 無 가구 기준, 정부 자료 반영)
가구원 수 2025년 최저보장액 (중위소득 30%) 소득 無 가구 지급액
1인 가구 | 703,866원 | 703,866원 |
2인 가구 | 1,178,810원 | 1,178,810원 |
3인 가구 | 1,514,464원 | 1,514,464원 |
4인 가구 | 1,846,317원 | 1,846,317원 |
5인 가구 | 2,169,655원 | 2,169,655원 |
📌 소득이 있을 경우 지급액이 차감됨
5. 2025년 생계급여 신청 방법
✅ 신청 방법
1️⃣ 거주지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2️⃣ "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 신청서" 제출
3️⃣ 소득·재산 심사 후 지급 결정 (약 30일 소요)
✅ 필요 서류
✔ 신분증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등)
✔ 소득·재산 증빙 서류 (급여명세서, 은행 거래내역 등)
✔ 임대차계약서 (해당 시)
✅ 온라인 신청 가능 여부
📌 복지로 홈페이지 (https://www.bokjiro.go.kr/) 에서 사전 상담 가능하지만, 최종 신청은 주민센터 방문 필수
6. 자주 묻는 질문 (FAQ)
❓ Q. 생계급여는 언제 지급되나요?
✅ 매월 20일 전후 지급 (주말·공휴일일 경우 앞당겨 지급)
❓ Q. 기존 수급자는 2025년 변경 기준에 따라 자동 적용되나요?
✅ 기준 중위소득이 인상되면서 자동 조정되지만, 소득·재산 변동이 있는 경우 재심사가 필요할 수 있음
❓ Q. 생계급여 외 추가 지원을 받을 수 있나요?
✅ 생계급여 수급자는 주거급여, 의료급여, 교육급여 등 추가 복지 혜택 가능
✅ 결론 – 2025년 생계급여, 이렇게 신청하세요!
📌 2025년 생계급여 핵심 요약
✔ 기준 중위소득 30% 이하 가구 지원 (1인 가구 70만 원, 4인 가구 184만 원 이하)
✔ 부양의무자 기준 완전 폐지 → 부모·자녀 소득 관계없이 본인 기준으로 지원 가능
✔ 거주 지역별 재산 기준 충족 필요 (대도시 8,100만 원 이하)
✔ 매월 20일 지급, 소득 있는 경우 차감 지급
✅ 2025년 생계급여 신청 대상이라면, 지금 바로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에서 신청하세요! 🚀😊
📌 출처: 보건복지부 정책자료,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2025년 중위소득 확정안
[출처: 보건복지부 2025년 기준 중위소득 발표 자료, 복지로 기초생활보장제도 안내]
'SHORT 지식 >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벚꽃 개화 예정 시기 – 지역별 개화 시기 및 추천 명소 총정리 (2) | 2025.03.12 |
---|---|
2025년 충남·대전 소상공인 경영회복 지원금 신청 방법 및 조건 총정리 (0) | 2025.02.28 |
보건증 인터넷 발급 방법 (1) | 2025.02.25 |
직장인을 위한 지방간 영양제 추천! 간 건강 개선 효과 총정리 (2) | 2025.02.24 |
인천 신혼부부 천원 주택 (신청 방법, 혜택, 조건) (3) | 2025.02.17 |